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간편하게 클라우드에서 설정, 운영, 확장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웹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의 설치, 모니터링, 백업, 알람 등 관리를 대신 해주며,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데이터베이스 설정, 패치 및 백업과 같이 잦은 운영 작업을 자동화하여 비용 효율적이고 크기 조정 가능한 DB 서비스를 제공
한마디로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DS의 데이터베이스의 제공 방식은 EC2와 비슷하다.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컴퓨팅을 사용하듯이, RDS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DB를 사용하는 원리이다.
하지만 EC2같이 유저가 시스템에 직접 로그인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RDS 인스턴스의 OS패치, 관리 등은 AWS가 전담 한다.
또한 RDS는 데이터베이스 모니터링 기능을 지원해주는데, DB에서 발생하는 여러 로그 (Error Log, General Log 등)를 CloudWatch와 연동하여 확인도 가능하다.
RDS는 기본적으로 VPC 안에서 동작하며, 기본적으로 public IP를 부여하지 않아 외부에서 접근 불가능하다.
다만, 설정에 따라 public으로 오픈 가능하며 대신 로드밸런서 같이 DNS로만 접근이 가능하다.
VPC 내에서 동작하는 서비스이니 당연히 서브넷과 보안그룹 지정도 필요하다.
RDS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인스턴스 타입을 지정해주어야 하며, 스토리지는 EBS를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EBS 타입의 선택도 필요하다.
그리고 RDS는 유동적으로 데이터 저장소 용량을 증설하는게 아닌, 생성시 EBS의 용량을 지정해서 생성한다. (추후에 용량 증설 가능)
cf)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인 Amazon Aurora는 용량지정 X, 사용한만큼만 비용 지불